1. City Pop
City Pop의 메인 테마 - '도시의 행복감' 유래
- 1980년대, '도쿄를 팔아 미국 전역을 산다.' 는 말이 나오던 버블경제 시절의 경제호황을 일본의 문화가 흡수했다.
- 일본의 음악산업 역시 많은 자본을 투자해 음반을 제작하기 시작했다.
- 일본의 유례없는 경제호황으로 풍족해진 환경의 영향으로 밝고 청량한 음악이 발매되기 시작했다.
City Pop의 이미지 - 도시, 바다, 자동차
- 도시와 바다는 서로 먼 거리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이동하는데 자동차가 필수이다.
이런 거리적 제약은 시간과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운 조건으로 작용하게 되었다.
-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, 경제적으로 풍족하던 80년대 일본의 젋은이들은 바다에 놀러가는 경우가 많았다.
이로 인해 바다는 80년대 일본 젋은이들이 노는 상직적 장소가 되었다.
- 80년대 일본의 경제/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강하게 받은 City Pop은 위와 같은 이유로 도시, 바다, 자동차를 이미지로 가지게 되었다.
Yamashita Tatsuro의 1984년 발매작. 바다가 앨범커버로 사용되었다.
비교적 최근에 발매된 YUKIKA의 「서울여자」 M/V. 도시가 이미지로 사용되었다.
City Pop의 모체 - AOR
- AOR은 Album Oriented Rock, Adult Oriented Rock의 약자. 두가지가 혼용되고있다.
- <Rate Yout Music>은 어덜트 오리엔티드 록을 전제로 AOR의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며 앨범 오리엔티드 록과는 분명히 구분한다.
자세한 내용은 출처 참고.
- <Rock Around The World>의 1977년 3월호에 실린 미국의 라디오 프로그램 디렉터 마크 해리슨에 대한 기사를 보면
AOR을 음악장르로 보지않고 "FM라디오에서 나오는 음악을 앨범 오리엔티드 록이라 불린다"는 내용을 찾을 수 있다.
- City Pop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면 위의 두가지 의미 중 어느 의미로 사용해도 무방하다.
70~80년대 미국의 라디오에서는 Progressive Rock, Soft Rock, Smooth Jazz, Fusion등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이다.
- 어찌되었든, AOR은 City Pop에 많은 영향을 준 음악이므로 City Pop에서 AOR의 특성을 찾을 수 있다.
Youtube에서 찾을 수 있는 AOR 믹스. City Pop과 많은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.
2. 한국의 City Pop
김현철 1집 「오랜만에」
- 80년대 말부터 한국에도 City Pop계열의 음악이 나오기 시작했다.
- 그러나...90년대 말에야 일본 문화를 받아들였던 한국의 환경을 고려하자면,
80년대 당시의 '한국형 City Pop'은 일본에서 수입된 것이 아닌 한국에서 자생한 음악이라고 볼 수 있다.
- 80년대 전후로 한국은 고도의 경제성장기를 지나고 있었고 버블경제시절의 일본과 마찬가지로 미래에 대한 낙관이 만연했다.
- 1989년 김현철은 자신의 정규 1집앨범 「김현철 Vol.1」을 발매했다.
김현철의 「오랜만에」 City Pop, AOR과의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.
출처
AOR이란 무엇인가? | GQ코리아 유지성 에디터
댓글 영역